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3세 (신성 로마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3세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1440년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고 145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 즉위했다. 그는 1424년 이너외스터라이히를 상속받았으며, 동생 알브레히트 6세와의 갈등, 오스만 제국의 위협,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 계승 문제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부르고뉴의 마리와 아들 막시밀리안 1세의 결혼을 통해 합스부르크 가문의 위상을 높였으며, "독일 국민의 신성 로마 제국" 개념을 제시하고 대특허장을 통합하는 등 정책을 추진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1493년 린츠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묘는 빈 성 슈테판 대성당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드리히 3세 (신성 로마 황제) - A.E.I.O.U.
    A.E.I.O.U.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이념과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사용한 표어이자 모토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왕가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5세기 신성 로마 황제 - 막시밀리안 1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으로서, 부르고뉴 공국과의 결혼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력을 넓혔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15세기 신성 로마 황제 - 지기스문트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 (신성 로마 황제)는 카를 4세의 아들로 헝가리 왕, 보헤미아 왕을 역임했으며, 헝가리 왕위 계승, 니코폴리스 전투, 콘스탄츠 공의회, 내정 개혁 시도, 후스 전쟁 등을 겪고 1433년 로마 황제로 즉위했다가 1437년 사망했다.
프리드리히 3세 (신성 로마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스 부르크마이어의 초상화, 1500년경
한스 부르크마이어 그림, 1500년경
칭호로마인의 황제
재위 기간1452년 3월 19일 – 1493년 8월 19일
대관식1452년 3월 19일
이전 황제지기스문트
다음 황제막시밀리안 1세
칭호 1독일 왕
재위 기간 11440년 2월 2일 – 1493년 8월 19일
대관식 11442년 6월 17일
이전 국왕알브레히트 2세
다음 국왕막시밀리안 1세
섭정 종류 1겸임
섭정 1막시밀리안 1세 (1486년–1493년)
칭호 2오스트리아 대공
재위 기간 21457년 11월 23일 – 1493년 8월 19일
이전 대공라디슬라우스
다음 대공막시밀리안 1세
섭정 종류 2겸임
섭정 2알브레히트 6세 (1457년–1463년)
칭호 3슈타이어마르크 공작, 케른텐 공작, 크라인 공작 (내 오스트리아)
재위 기간 31424년 6월 10일 – 1493년 8월 19일
이전 공작에른스트
다음 공작막시밀리안 1세
섭정 종류 3겸임
섭정 3알브레히트 6세 (1424년–1463년)
배우자엘레오노르 폰 포르투갈 (1452년 결혼, 1467년 사망)
자녀막시밀리안 1세
쿠니군데, 바이에른 공작 부인
가문합스부르크
아버지에른스트, 오스트리아 공작
어머니침바르카 마조비에츠카
출생일1415년 9월 21일
출생지인스브루크, 티롤
사망일1493년 8월 19일 (향년 77세)
사망지린츠, 오스트리아
매장지빈 슈테판 대성당
서명
별칭

2. 생애

프리드리히 3세는 합스부르크 왕가 출신으로, 독일 국왕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역임했다. 그의 생애는 복잡한 정치적 상황과 끊임없는 투쟁으로 점철되었다.

오스트리아 공작 에른스트의 아들이자 루돌프 1세의 5대손이었던 그는, 1424년 9살의 나이에 이너외스터라이히를 상속받았다.[4] 1439년에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최고 서열이 되었고, 이듬해 친척 알브레히트 2세가 급사하자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다.[4]

그러나 그의 통치는 순탄치 않았다. 친척들과의 갈등, 제후들의 반란,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끊임없이 시달렸다.[4] 특히 헝가리 왕국의 마티아슈 1세에게 패배하여 을 빼앗기고 린츠로 도망치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40]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프리드리히 3세는 끈기와 외교술로 위기를 극복해 나갔다. 1452년에는 포르투갈 왕국의 엘레오노라 공주와 결혼하여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고,[5] 같은 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권위를 높였다.[5]

아이네아스 피콜로미니가 엘레오노라 포르투갈 공주를 프리드리히 3세에게 소개하는 모습 (핀투리키오 작품)


1477년에는 아들 막시밀리안부르고뉴 공국의 상속녀 마리와 결혼시켜 합스부르크 왕가의 세력을 크게 확장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전쟁은 다른 집안에 맡겨 두고, 행복한 오스트리아여, 너는 결혼하라"라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결혼 정책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말년에는 아들 막시밀리안과 공동 통치를 하며 점차 국정에서 물러났고, 1493년 린츠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빈 성 슈테판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프리드리히 3세의 묘, 빈

2. 1. 초기 생애와 상속

오스트리아 공작 에른스트의 아들이자, 합스부르크 왕가 출신 최초로 독일 국왕에 선출된 루돌프 1세의 5대손이었다. 1415년 티롤의 인스브루크에서 태어났으며, 합스부르크 왕가 레오폴트 계열의 내오스트리아 공작 에른스트 철공과 그의 두 번째 부인 마조비아의 킴부르기스 사이의 장남이었다. 1379년 노이베르크 조약에 따라 레오폴트 계열은 슈티리아, 카린티아, 크라인 공국, 즉 내오스트리아를 통치했다. 프리드리히의 여덟 형제자매 중 세 명만이 유년기를 넘겼다. 그의 남동생 알브레히트(후에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6세), 누이 마가레트(후에 작센 선제후)와 카타리나였다.

1424년, 9살의 어린 나이에 아버지 에른스트가 사망하면서 이너외스터라이히를 상속받게 되었고, 프리드리히 5세로서 내오스트리아 공작이 되었다. 그의 삼촌인 티롤 공 프리드리히 4세가 섭정을 맡았다.

1431년부터 프리드리히는 성년이 되어 통치할 수 있도록 노력했지만 수년간 친척들에 의해 거부당했다. 1435년, 알브레히트 2세가 그에게 내오스트리아 유산에 대한 통치권을 부여했다. 거의 시작부터 프리드리히의 동생 알브레히트는 공동 통치자로서의 권리를 주장하며 오랜 라이벌 관계의 시작을 알렸다.

1439년, 삼촌인 티롤 공 프리드리히 4세가 사망하자 프리드리히는 그의 상속자인 지기스문트를 위해 티롤과 외오스트리아의 섭정직을 이어받았다. 그는 동생 알브레히트 6세가 제기한 주장을 막아야 했고, 티롤 귀족들의 지원을 받아 승리했다. 그는 조카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를 위해 오스트리아 공국의 섭정으로 활동했다.

황제 지기스문트의 죽음으로 룩셈부르크 가문이 단절된 후, 다음 로마 왕으로 선출된 것은 지기스문트의 사위 알브레히트 2세였다. 알브레히트 2세는 합스부르크가의 종가(알브레히트 계) 당주로, 프리드리히의 재종사촌에 해당했다. 알브레히트는 이때 지기스문트가 가지고 있던 헝가리보헤미아의 왕위도 획득했다. 그러나 1439년, 즉위 1년 남짓 만에 황제 대관식도 치르지 못한 채 알브레히트 2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 출전 중 헝가리에서 이질로 급사했다.

1440년 2월 2일, 선제후들은 프랑크푸르트에 모여 프리드리히를 로마 왕으로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2. 2. 독일 왕 선출과 섭정

오스트리아 공작 에른스트의 아들이자 합스부르크 왕가 출신 최초로 독일 국왕에 선출된 루돌프 1세의 5대손, 알브레히트 1세의 4대손이다. 1439년, 24세에 합스부르크 가문의 최고 서열이 되었고, 이듬해 친척이자 독일 왕인 알브레히트 2세가 사망하자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다.

1439년, 알브레히트 2세는 즉위 1년여 만에 황제 대관식도 치르지 못하고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 참전 중 헝가리에서 이질로 급사했다. 알브레히트 2세의 아들은 아버지 사후 태어난 라디슬라우스 포스트무스뿐이었다. 프리드리히는 라디슬라우스의 후견인으로 선출되는 한편, 로마 왕으로도 선출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세력이 여전히 압박하고 있었기에, 프리드리히는 알브레히트를 대신하여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방파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후 프리드리히는 친척들과의 갈등, 제후들의 반란에 시달렸다. 그 와중에 전왕의 아들이자 헝가리 왕국보헤미아 왕국의 국왕인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의 후견인을 자처하며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위 계승권을 노렸으나, 보헤미아와 헝가리 귀족들의 반항으로 성년이 되지 못한 라디슬라우스의 후견을 포기해야 했다.

1440년 2월 2일, 선제후들은 프랑크푸르트에 모여 프리드리히를 로마 왕(프리드리히 4세)으로 만장일치 선출했다. 그의 통치는 슈티리아, 카린티아, 크라인, 즉 내오스트리아의 세습 영토를 기반으로 했다.

1457년 라디슬라우스가 17세의 나이로 요절하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위는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잠시 벗어났지만, 오스트리아의 유산은 프리드리히 3세의 차지가 되었다.

2. 3.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즉위와 결혼

오스트리아 공작 에른스트의 아들이자 합스부르크 왕가 출신 최초로 독일 국왕에 선출된 루돌프 1세의 5대손인 프리드리히 3세는 1452년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롬바르디아의 왕관을 받았다. 같은 해, 포르투갈 왕국두아르트 국왕의 딸 엘레오노라 공주와 결혼했다.[5] 1452년 3월 19일에는 로마에서 교황으로부터 신성 로마 제국 왕관을 받아 정식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되었다.[5]

프리드리히 3세는 빈과 비너 노이슈타트에 주교구를 설립하는데 성공했는데, 이는 이전의 어떤 오스트리아 공작도 달성하지 못했던 일이었다.[11]

2. 4. 오스만 제국의 위협과 빈 함락

1453년 오스만 제국이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하면서 비잔티움 제국이 멸망하자, 서로마 제국의 후신을 자처하던 신성 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유일한 후계자가 되었다.[40] 오스만 제국의 메흐메트 2세는 콘스탄티노플리스를 함락시키고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켰으나, 프리드리히 3세는 이 소식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40] 투르크인들은 슈타이어마르크와 케른텐 등지로 침공해왔으나, 재정과 군사력이 취약했던 프리드리히 3세는 제대로 저항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그는 자신의 세습 영지가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막는 최전선임을 자각하고 방어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후녀디 야노시의 아들 마차시 1세는 1458년 헝가리 왕으로 선출된 후, 왈라키아, 세르비아 등을 병합하고 1479년 올로모우츠 조약을 통해 오스트리아 대공의 지위까지 빼앗았다. 1483년에는 오스트리아의 절반을 지배했고, 1485년에는 을 점령하여 프리드리히 3세는 린츠로 궁정을 옮겨야 했다.[40] 프리드리히 3세는 자신의 딸 쿠니군데를 오스만 제국의 술탄에게 바쳐 위기를 모면하려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40] 그러나 1490년 마차시 1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프리드리히 3세는 빈으로 돌아와 오스트리아의 지배권을 되찾을 수 있었다.[40]

2. 5. 아들과의 공동 통치와 부르고뉴 상속

1473년 9월 13일, 프리드리히 3세는 부르고뉴 공국의 샤를 용담공과 트리어에서 회담을 가졌다.[46] 당시 부르고뉴 공작의 상속자는 외동딸 마리뿐이었기에, 유럽 각국의 왕족들은 그녀와의 결혼을 원했다. 특히 프랑스 왕국의 왕 루이 11세는 왕세자 샤를(후의 샤를 8세)과의 결혼을 강력히 희망했다. 그러나 샤를 용담공은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 막시밀리안 대공과의 결혼에 관심을 보였다. 샤를은 부르고뉴의 통치자로서 자신에게 로마 왕위를 수여할 것을 요구했지만, 로마 왕 선출권은 선제후에게 있었기에 프리드리히 3세는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46] 결국 황제 일행은 11월 24일 자정에 몰래 트리를 떠났다. 분노한 샤를은 제국을 침공했으나 황제군에게 패했고, 스위스군에게도 두 번 패했다.[46]

프리드리히 3세와 샤를 용담공의 만남


샤를 용담공은 트리어 회담에서 막시밀리안 1세를 마음에 들어 해, 무조건으로 딸 마리와의 결혼을 승낙했다. 1477년 1월 5일 낭시 전투에서 샤를이 전사하자,[46] 막시밀리안과 마리는 결혼했다. 부르고뉴령 네덜란드프랑슈콩테는 두 사람의 차지가 되었지만, 부르고뉴 공작령 대부분은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1486년 2월 16일, 막시밀리안은 프랑크푸르트 국회에서 6명의 선제후에 의해 만장일치로 로마-게르만 왕으로 선출되었다. 보헤미아 선제후는 초청받지 못했는데, 헝가리 왕국의 왕 코르비누스가 보헤미아 왕위를 주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5] 막시밀리안의 선출을 기념하여 10년간의 토지 평화가 결정되었다. 왕의 선출 후 프리드리히는 아들과 함께 아헨으로 가서 1486년 4월 9일 막시밀리안의 대관식을 거행했다.

1488년, 브르타뉴 공작 프랑수아 2세가 외동딸 안을 남기고 사망하자, 안은 이미 마리와 사별한 막시밀리안과 약혼했다. 그러나 프랑스 왕 샤를 8세는 무력으로 그녀를 빼앗았다. 이 사건으로 프랑스 왕가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그러나 부르고뉴 가문과의 혼인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결혼 정책 "전쟁은 다른 집안에 맡겨 두고, 행복한 오스트리아여, 너는 결혼하라"의 첫걸음이 되었다.

프리드리히 3세는 아들 막시밀리안을 독일 왕이자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고, 이는 국정 전반에서 점차 역할이 축소되는 결과를 낳았다.[15] 그러나 1490년 마티아슈 1세가 사망하면서 막시밀리안은 오스트리아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2. 6. 죽음

1493년 2월부터 프리드리히 3세의 건강은 점점 악화되었다. 1493년 사순절 무렵, 프리드리히 3세의 주치의들은 황제의 왼쪽 다리에 증상을 진단했는데, 이는 연구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한 화상으로 언급되지만, 현재 의학 용어로는 동맥경화증의 결과로 간주된다.[27] 1493년 6월 8일, 외과의사 한스 자이프의 지휘 아래 린츠 성에서 해당 부위의 다리를 절단하는 수술을 받았다. 이 다리 절단 수술은 중세 전체에서 가장 유명하고 잘 기록된 외과 수술 중 하나로 여겨진다.[27]

프리드리히 3세는 처음에는 수술 후 회복이 잘 되었지만, 1493년 8월 19일 77세의 나이로 린츠에서 사망했다. 당시 사람들은 사망 원인으로 다리 절단의 후유증, 노쇠, 또는 멜론 섭취로 인한 급성 설사를 들었다. 그의 내장은 아마도 1493년 8월 24일 린츠 교구 교회에 별도로 매장되었을 것이다. 카린티아와 크라인에 터키인들이 진입하면서 막시밀리안의 도착과 장례식이 지연되었다. 1493년 12월 6일과 7일에 성 슈테판 대성당에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라이덴의 니콜라우스 게르하르트가 빈 성 슈테판 대성당에 건립한 그의 묘는 후기 중세 조각 예술의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이다. (절단된 다리도 함께 매장되었다.) 화려하게 장식된 묘는 프리드리히 3세 사후 20년이 지난 1513년에야 완성되었고, 원래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28]

3. 정책

프리드리히 3세는 루돌프 4세의 "대특허장"을 제국법에 통합하여 합스부르크 가의 권리를 크게 신장시켰다.[47] 대특허장은 오스트리아의 독립성과 대공의 권한을 명시하여, 이후 합스부르크 가가 황위를 독점하는 기반이 되었다.[47]

1442년 프랑크푸르트 제국회의에서 프리드리히 3세는 특별재판소 개혁 법률을 공포하며 "신성 로마 제국과 독일 국민"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40] 이는 "신성 로마 제국" 국호에 "독일 국민"이 추가되는 계기가 되었고, 1486년에는 "독일 국민의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40] 이는 제국의 지배 영역이 독일어권으로 제한됨을 인정하고, 서유럽 전체 지배라는 목표를 포기함을 의미했다.[40]

3. 1. 제국 개혁 시도

프리드리히 3세는 정치적으로 대담한 행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몇 가지 성공적인 업적을 이루었다. 145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식을 치렀는데, 이는 지기스문트 황제 사후 첫 번째 황제 대관식이었다. 프리드리히 3세는 보헤미아 왕비가 아들을 낳으면 후견인이 된다는 조건으로 황제에 즉위했고, 왕비가 라디슬라우스 후사를 낳자 약속대로 후견인이 되었다.[9] 그러나 이는 다른 왕족 및 귀족들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자신의 형제인 알브레히트 6세와 권력 다툼을 벌였으나, 직접적인 전투에서는 한 번도 승리하지 못했다. 대신 그는 라디슬라우스 후사를 억류하고 후견권을 영구적으로 확장하려는 등 교묘한 방법을 사용했다. 라디슬라우스는 1452년 하부 오스트리아 영주들에 의해 풀려났지만, 프리드리히 3세는 결국 반대자들을 제거하고 그들의 땅을 상속받아 권력을 강화했다.[10] 1462년에는 알브레히트 6세가 빈에서 반란을 일으켜 프리드리히 3세를 포위하기도 했지만, 보헤미아 국왕 게오르크 포데브라디의 지원을 받아 위기를 넘겼다.[11]

프리드리히 3세는 부르고뉴 공작 샤를 용담의 딸 부르고뉴의 마리와 자신의 아들 막시밀리안 1세를 결혼시켜 합스부르크 가문을 유럽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시켰다.[14] "다른 사람들은 전쟁을 하게 하라. 행복한 오스트리아는 결혼할 것이다"라는 말은 이 시기 합스부르크 가문의 모토가 되었다.

1486년, 프리드리히 3세는 아들 막시밀리안을 로마-게르만 왕으로 선출하여 후계 구도를 확립했다.[15] 막시밀리안의 선출을 기념하여 10년간의 토지 평화가 결정되었고, 1488년에는 프리드리히 3세의 주도로 스와비아 동맹이 결성되었다. 프리드리히 3세와 막시밀리안 1세는 성격과 리더십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막시밀리안은 제국 정치에서 중요한 파트너로 성장했다.

1487년, 프리드리히 3세의 딸 쿠니군데와 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4세의 결혼은 막시밀리안의 중재로 이루어져 전쟁을 막을 수 있었다. 프리드리히 3세는 1469년 빈과 비너 노이슈타트|Wiener Neustadtde에 주교구를 설립하는 데 성공했다.[12][13]

프리드리히 3세는 보헤미아-헝가리 전쟁 (1468-78)에서 헝가리와 보헤미아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는 데는 실패했다. 148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쟁 (1477-88)에서는 마티아스 코르비누스에게 패배하여 빈을 빼앗기기도 했다.[16]

노년의 프리드리히


프리드리히 3세는 자신의 개인 모토인 A.E.I.O.U.를 모든 소지품에 새겼는데, 이는 ''Austriae Est Imperare Orbi Universalila'' 또는 ''Alles Erdreich ist Österreich untertande''(온 세상이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는다)를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6]

프리드리히 3세는 제국 개혁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개혁을 황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직접적인 대결을 피했다.[17] 그러나 말년에는 개혁에 대한 압력이 거세졌고, 마인츠 대주교였던 베르톨트 폰 헤네베르크는 막시밀리안의 황제 선거를 이용하여 제국 개혁을 추진하려 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결국 제국 개혁의 초기 단계를 주재했고, 이는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막시밀리안은 개혁에 더 개방적이었지만, 황권을 유지하고 강화하려 했다. 프리드리히 3세 사후, 막시밀리안은 제국 개혁 과정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19]

루돌프 4세의 “대특허장”을 제국법에 통합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은 매우 큰 권리를 얻게 되었다. “대특허장”에는 “오스트리아는 황제가 간섭할 수 없는 영원한 봉토이며, 오스트리아 대공은 황제의 고문으로, 그의 몰래 어떠한 결정도 내릴 수 없다." 등의 내용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황위를 독점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47]

1442년, 프리드리히 3세는 프랑크푸르트 제국회의에서 특별재판소 개혁 법률을 공포했는데, 이때 법률 제17조 서두에 “신성 로마 제국과 독일 국민”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40] 여기서부터 점차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국호에 “독일 국민”이라는 말이 추가되기 시작했다.[40] 1486년에 사용된 “독일 국민의 신성 로마 제국”은 적어도 이러한 의미였다.[40]

3. 2. "독일 국민의 신성 로마 제국" 개념 등장

1442년, 프리드리히 3세는 프랑크푸르트 제국회의에서 특별재판소 개혁 법률을 공포했는데, 이때 법률 제17조 서두에 "신성 로마 제국과 독일 국민"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40] 여기서부터 점차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국호에 "독일 국민"이라는 말이 추가되기 시작했다.[40] 이것은 곧 그 제국의 지배 영역이 독일어권으로 제한되어 왔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으로, 1486년에 사용된 "독일 국민의 신성 로마 제국"은 적어도 이러한 의미였다.[40] 역대 황제들이 꿈꿔왔던 서유럽 전체의 지배라는 목표를 공식적으로 포기함과 동시에, 허황된 말을 경계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40]

3. 3. 대특허장 통합

루돌프 4세(건설공)의 “대특허장”을 제국법에 통합한 것은 프리드리히 3세였으며, 이후 합스부르크 가는 매우 큰 권리를 얻게 되었다. “대특허장”에는 “오스트리아는 황제가 간섭할 수 없는 영원한 봉토이며, 오스트리아 대공은 황제의 고문으로, 그의 몰래 어떠한 결정도 내릴 수 없다. 오스트리아는 모든 제국세가 면제되지만, 제국은 오스트리아의 안전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 오스트리아는 의무로 제국에 속해 있는 것이 아니라, 제국의 요청으로 제국의 신하가 된 것이다.” 등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이후 합스부르크 가가 황위를 독점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47] 건설공의 사칭에서 시작된 대공이라는 칭호도 제국법에 의해 공식적인 것이 되었다.

4. 유산

프리드리히 3세의 통치 방식은 우유부단하고 의사 결정 속도가 느리다는 특징을 보였다. 훗날 피우스 2세가 된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는 한때 프리드리히 3세의 궁정에서 일했는데, 황제를 가만히 앉아서 세상을 정복하려는 사람으로 묘사했다. 과거 학계에서는 이를 성격적 결함으로 여겼지만, 최근에는 그의 지연 전술이 멀리 떨어진 영토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프리드리히 3세는 어려운 정치적 상황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능력이 있었던 것으로 평가받는다.[6]

당시 기록에 따르면 프리드리히 3세는 자녀와 아내 엘레오노르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가까워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형제 알브레히트와 아들 막시밀리안과 달리 은둔 생활을 유지했다. 축제나 토너먼트와 같은 사교 행사에는 기꺼이 참석했지만, 호화로운 연회는 싫어했다. 훗날 아들 막시밀리안이 십 대 초반에 와인, 연회, 여성에 빠지는 경향을 보이자 끔찍하게 생각했다.[7][8] 프리드리히 3세가 가족에게 다소 무관심했기 때문에 엘레오노르는 프리드리히 3세 자녀들의 양육과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부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록 결혼 생활은 불행했지만, 엘레오노르가 사망하자 황제는 큰 영향을 받았고 남은 생애 동안 홀아비로 지냈다.[6]

프리드리히는 "서구의 인재 수입을 선호하는" 중요하고 강력한 음악 후원자였다. 이는 트렌트 대성당과 같은 궁정 외 기관들의 노력과 결합되어 막시밀리안 1세 시대의 음악 번영에 기여했다.[20]

그가 수집한 110권의 책은 후대 ''Bibliotheca Regia''(왕립 도서관)의 핵심 자료를 이루었고, 이는 후대의 황실 도서관이자 현재의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의 전신이었다.[21]

5. 가계

프리드리히 3세는 오스트리아 공작 에른스트의 아들이자 합스부르크 왕가 출신 최초로 독일 국왕에 선출된 루돌프 1세의 5대손이었다. 바이에른 왕가 출신의 루트비히 4세는 프리드리히 3세의 5대조 루돌프 1세의 외손자였다.[29]

프리드리히 3세는 고조모 엘리자베스를 통해 로타르 3세의 후손이기도 하다. 고조모 엘리자베스의 친정어머니 바이에른의 엘리자베스의 외조부 하인리히는 로타르 3세의 딸 게르트루데의 손자이자 황제 오토 4세의 형이었다.[30]

루트비히 4세는 프리드리히 3세의 5대조의 외손자인 동시에 내재종증조부였다. 루트비히 4세는 프리드리히 3세의 고조모 엘리자베스의 외조부 하인리히의 딸 아그네스의 손자였으며, 루트비히 4세의 아버지 바이에른 공 루트비히 2세는 프리드리히의 고조모 엘리자베스의 남동생이었다. 따라서 고조모 엘리자베스의 친정 조카이기도 했다.[31]

5. 1. 배우자와 자녀

엘레오노레 헬레나 폰 포르투갈 왕녀|엘레오노라pt(포르투갈의 두아르트 국왕의 딸)와 1452년에 결혼하여 3남 2녀를 두었다. 그중 성인이 된 자녀는 막시밀리안 1세와 쿠니군데 2명이다.

프리드리히 3세와 포르투갈의 엘레오노라


장남 크리스토프


장녀 헬레네


이름출생사망비고
크리스토프1455년1456년요절
막시밀리안 1세1459년1519년신성 로마 제국 황제, 부르고뉴의 마리와 결혼(1477년), 브르타뉴의 앙느와 결혼(1490년), 비앙카 마리아 스포르차와 결혼(1494년)
헬레네1460년1461년요절
쿠니군데1465년1520년바이에른 공 알브레히트 4세와 결혼(1487년)
요하네스1466년1467년요절


5. 2. 가계도

wiki

참조

[1] 논문 The Habsburg Images: Cigoli, Terzio and Reichle
[2] 서적 The Habsburgs: The History of a Dynasty Bloomsbury
[3] 서적 German Histories in the Age of Reformations, 1400–16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21
[4] 웹사이트 Emblem of the Theresan Military Academy https://www.milak.at[...] 2024-10-24
[5]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Volume II: The Council of Basel to the Papal Restoration, 1418–1464 Longmans
[6] 서적 Die Habsburger. Dynastie und Kaiserreiche
[7] 서적 Kaiser Maximilian I.: Jugend, burgundisches Erbe und Römisches Königtum bis zur Alleinherrschaft, 1459–1493 https://books.google[...] Verlag für Geschichte und Politik 2022-02-21
[8] 논문 Lehrjahre eines Kaisers - Stationen der Persönlichkeitsentwicklung Karls V. (1500–1558): eine Betrachtung habsburgischer Fürstenerziehung/-bildung zum Ende des Mittelalters https://ubt.opus.hbz[...] Universität Trier 2021-12-03
[9] 서적 Europe (c.1400–1458)
[10] 간행물 Wien und Niederösterreich – eine untrennbare Beziehung?
[11] 논문 Friedrich III. (1440–1493) auf Reisen. Die Erstellung des Itinerars eines spätmittelalterlichen Herrschers unter Anwendung eines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istorical GIS) http://www.friedrich[...] Göttingen
[12] 논문 Der St.-Georgs-Ritterorden Kaiser Friedrichs III
[13] 논문 Kaiser Maximilian I. und St. Georg
[14] 서적
[15] 논문 Maximilian I and the Holy Roman Empire: The Authority of a King of the Romans (1486–1490) https://www.academia[...] 2022-03-21
[16] 서적 The Raven King: Matthias Corvinus, and the Fate of his Library Yale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A Thousand Years of Europe's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22-01-21
[18] 서적 Reformation and the German Territorial State: Upper Franconia, 1300–163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22-01-21
[19] 서적 German Histories in the Age of Reformations, 1400–16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21
[20] 서적 The mass-proper cycles of Henricus Isaac : genesis, transmission, and authenticity https://www.musicolo[...] University of Oxford 2021-12-21
[21] 웹사이트 1440: Kaiser Friedrich III. und das böhmische Erbe –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https://web.archive.[...] 2021-11-22
[22] 서적 Nicholas of Cusa – A Companion to his Life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10-10
[23] 백과사전 "Per tot discrimina rerum" ? Maximilian I. (1459–1519) Böhlau Verlag 2022-09-04
[24] 백과사전 Encyclopaedia Judaica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Judaica 2022-10-10
[25] 백과사전 "Per tot discrimina rerum" ? Maximilian I. (1459–1519) https://doi.org/10.7[...] Böhlau Verlag 2022-10-10
[26] 백과사전 "Per tot discrimina rerum" ? Maximilian I. (1459–1519) Böhlau Verlag 2022-09-04
[27] 논문 "Item als man dem kayser Fridrichen sin funss abschnitt". Die Beinamputation an Kaiser Friedrich III. am 8. Juni 1493 in Linz ["Item as Kaiser Friedrich's foot was amputated". The leg amputation of Kaiser Friedrich III on 8 June 1493 in Linz] https://pubmed.ncbi.[...] 2023-12-11
[28] 서적 Königs- und Kaiserbegräbnisse im Spätmittelalter. Von Rudolf von Habsburg bis zu Friedrich III. Köln
[29] 백과사전 Habsburg, Ernst der Eiserne
[30] 백과사전 Habsburg, Cimburgis von Masovien
[31] 백과사전 Leopold III. (Herzog von Österreich, Steiermark, Kärnten und Krain)
[32] 백과사전 Visconti, Viridis
[33] 백과사전 Siemowit IV https://web.archive.[...] Filmoteka Narodowa – Instytut Audiowizualny 2019-03-01
[34] 백과사전 Aleksandra Spaudos Fondas
[35] 웹사이트 Frederick III Holy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36] 문서 null
[37] 문서 null
[38]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1
[39] 서적 ハプスブルク家
[40] 서적 神聖ローマ帝国
[41] 서적 ハプスブルク一千年
[42] 서적 神聖ローマ帝国
[43] 웹사이트 フリードリヒ3世(フリードリヒさんせい)とは https://kotobank.jp/[...] 2020-08-05
[44] 백과사전 Meyers Konversationslexikon Commons:File:Meyers [...] 1885-1890
[45] 서적 世界の名著 45 ブルクハルト 中央公論社 1966
[46] 서적 ハプスブルク家
[47] 서적 神聖ローマ帝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